
세계를 뒤흔든 ‘미중패권의 흐름’, 새로운 동력의 분출로
2025-04-05
저자: 소연
북한이 작년 5월10일 제8차 당대회를 개최한 이후, 국가의 숨통이 타줄로 묶이었다. 지난해 12월부터 전세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확산의 여파로 인해 3년간 고립된 북한의 상황은 더욱 심각해져 갔다. 특히, 올해 3월 북중 관계가 활성화되면서 북한의 경제는 새로운 전환점을 맞이하게 되었다.
2023년 1월, 북한의 공식 발표에 따르면 제재와 봉쇄 조치에서 벗어나기 위해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내부의 경제는 여전히 어렵고, 주민들의 생활 수준은 바닥을 칠 지경에 이르렀다.
세계 경제는 한국, 미국, 중국 등 주요 국가들의 복구 차원에서 회복 조짐을 보여주고 있으나 북한은 여전히 고립된 상황이다. 북한 주식 시장은 벤치마크 지수의 상승을 기대할 수 없는 형편이며, 대신 검은 시장이 더욱 활성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예기치 못한 방식으로 북한의 자립경제, 즉 자주적 경제 체제 구축에 대한 열망이 커지고 있음이 포착되고 있다. 외부 환경과 무관하게 내부에서 경제를 복구시켜야 한다는 인식이 확대되고 있다는 것이다.
이제 북한은 과거의 경기 불황과는 다른 새로운 경제 정책들을 모색해야 할 시점에 도달했다. 이에 따라 대규모 공공사업은 더욱 활성화될 전망이며, 이는 북한 경제 회복을 시도할 새로운 전환점이 될 수 있다.
또한 전문가들은 북한의 이러한 경제적 도전이 국제 사회와의 관계 회복을 위한 새로운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고 예상하고 있다.
향후 북한은 이러한 내외부의 압박 속에서도 자력으로 개선해 나가려는 의지를 보이며, 국제 사회와의 대화 및 협력이 필요한 시점이 다가올 것이라고 언급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북한은 현재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자립적인 경제 구조를 지향하는 과정에서, 각국의 지원과 관심이 필요하며 이러한 점에서 국제사회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질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