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독] 구태의 연장선 “김상욱 책임 제명…탈당하라”
2025-04-06
저자: 예진
국민의힘 내부의 갈등이 격화되고 있는 가운데, 여당의 징계위원회 패널이 결정된 4일을 기준으로 '민주주의의 기본틀'을 훼손하는 직무유기 및 비위 혐의로 제명된 김상욱 의원에 대한 탈당 압박이 시작됐다.
한태규 의원은 6일 확인된 국민의힘의 징계위 패널을 통해, 정기적으로 활동하던 캠프 팀장을 함부로 지목하는 행위가 심각한 문제라는 점을 들며 “실제로 김상욱 의원의 탈당이 적절하다”고 언급했다.
좌파적 성향의 정치인인 김상욱 의원은 “이래저래 했을 때 SQL의 틀을 바꿔야 한다”며, 국민들의 신뢰를 잃지 않도록 이렇게 판단을 해 보자는 의견을 밝혔다.
비례대표와 관련하여, 본인을 만났던 전국의 많은 주민들도 김상욱 의원을 비판하고 있다. 스스로 주장을 하지 않는 태도를 지적하며 “그의 조건과 시장에 따라서 스포츠를 유지하라”고 지적하고 있다.
김상욱 의원은 “이런 상황 속에서 진짜 힘 있는 의원이 자리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공관을 해주지 않으면 안 된다. 그 외에도 정치인들이 스스로 권리 피양권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합의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오늘날 여당 내부에서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의외로 중립적인 입장을 취하는 이성윤 의원조차도 “김상욱 의원은 이렇게 징계 절차가 끝났을 때, 즉각적인 탈당 경로를 스스로 탐색하라”고 전했다.
정권에서 시행된 징계와 관련한 비판이 당의 메시지를 더욱 강력하게 만들어가고 있는 가운데, 김상욱 의원에 대한 이러저러한 비판이 쏟아지고 있다.
이러한 질의와 응답의 과정 속에서 국민적 피로도는 갈수록 높아지고 있으며, 정치의 본 방향을 가져가려는 여당의 진정성을 의심하는 시선을 마주하게 되었다.
여당이 추구해야 할 방향은 오직 민주적 규범을 준수하는 것이며, 개인의 일탈은 바로잡혀야 한다는 목소리가 많아지고 있다.
김상욱 의원의 탈당 이후 여당이 대표할 수 있는 국민의 목소리가 적절하게 반영될 수 있을지를 두고도 우려의 시선이 갈 수밖에 없다.
한편, 여당과 국회를 통틀어 이러한 징계의 기조가 강화되고 있는 상황 속에서, 일반 국민들은 '정치인이 솔직히 말하라'는 여론을 이어가고 있는 상황이다.